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우리몸을 재충전하기 위한 보약/한약-주의사항/금기음식/무를 먹으면 흰머리가 생긴다?

반응형

 

 

 

 

 







 

 

 

 

가을에 보약을 많이 먹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여름철에 몸속의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여

지쳐있는 몸을 가을에 재충전하여 긴 겨울, 질병없이 추위를 이겨내자는 뜻이라는데요.

 

 

 한방에서 보약이란 용어는 부족한 정기(正氣)를 보충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정기란 인체가 활동하는데 꼭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 내분부계통의 기능을 말한다는거... 만성질환에 보약을 투여하면 체내의 면역기능이 강화되고 항병능력이 높아져 치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죠.

 

보약은 예방의학적으로 신체 저항력을 높여주어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지켜주고 노화과정을 늦추며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고 해요.


 

이렇게 우리 몸에 좋은 보약!! 우리몸에 도움이 되는 한약.

무턱대고 먹으면 문제가 될 수 있답니다. 보약 복용 시 주의사항과 금기 음식들. 알고 계신가요??

금기 음식은 질병이나 약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요. 일반적으로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류, 그리고 찬음료나 밀가루 음식, 커피나 자극성이 강한 음식, 무, 과다한 음주는 보약 복용중 피해야할 음식인데요.

 

돼지고기 닭고기는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되고 기름져서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돼지고기는 성질이 차고, 닭고기는 열성이기 때문에 약효에도 문제가 생겨 금기해주는 것이 좋답니다.

또 성질이 찬 냉음료나 밀가루 음식 등도 금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찬 음료는 몸을 더욱 차게 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고, 밀가루 음식은 소화기의 활동력을 약하게 하여 복부 팽만감 등 소화불량 즐세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예요.

 

 

 

 

또, 커피나 차 같은 카페인 음료 대부분이 보약과 상충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주의해야하구요~ 빈혈로 인해 보혈시키는 보약을 먹을 때는 감같은 탄닌이 든 떫은 음식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피해야 한답니다. 보약재 중 숙지황이 든 한약을 먹을 때는 무를 먹게 되면 흰머리가 생긴다는 얘기 들어 보셨죠??

 

숙지황의 보하는 성질과 무의 성질이 서로 어울리지 않기때문에 금하는 것이지 부작용으로 흰머리가 생기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다음 사진은 본인이 먹는 한약/보약에 대한 주의사항 안내지 인데요.

약재의 성분에 따라 주의사항 및 금기해야할 사항들이 다양하다고 하니 꼭!! 전문가와 상의후 한약/보약을 복용하도록 해요!!

 

 

 

 

 

 

 

 

 

 

 

 

 

 

반응형